척추의 구조

우리몸의 기둥에 해당하는 척추는 경추(목뼈) 7개, 흉추(등뼈) 12개, 요추(허리뼈) 5개, 천추(엉치뼈) 및 미추(꼬리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중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정면에서 볼때는 일직선 모양, 측면에서 볼때는 S 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단한 척추뼈안에 척수와 척수신경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척추뼈 사이에는 경추 1-2번을 제외하고는 추간판이라는 구조물이 존재하여 단단한 척추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며 척추를 구부리고 펴는 각종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추간판을 다른말로 디스크 라고 합니다.

디스크가 여러원인에 의하여 튀어나오게 되면 뒤부분의 척수와 척추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가 발생합니다. 목디스크는 목부위의 통증과 함께 등, 어깨, 팔, 손가락쪽의 통증, 저림등을 동반하고, 허리디스크는 허리부위의 통증과 함께,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부위의 통증, 저림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목디스크

목디스크는 목뼈사이의 추간판(디스크)이 튀어나오면서 척수와 척추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을 말하며 정확히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환자의 연령대가 현저히 낮아지고 있습니다.

발병원인
①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를 하거나 운전을 할 때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
② 수면시 엎드려 자거나 너무 높은 베게를 사용하는 경우
③ 목에 무리를 가하는 잘못된 생활습관을 오래 유지하는 경우
④ 교통사고나 낙상 등의 직접적인 충격으로 목뼈나 관절에 손상이 오는 경우
⑤ 과도한 스트레스

증상
초기에는 목주변이 아프고 목을 움직일 때 통증이 있으면서 목을 바르게 가누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이때 등부위나 어깨부위까지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많은 수의 환자들이 이런 증상들을 단순히 “담결렸다” 거나 “잠을 잘못자서 목이 삐끗했다”고 생각하여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꼭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경추사이에서 나오는 신경이 팔, 손가락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로 한쪽 팔이나 손가락쪽으로의 저림, 통증, 당기는 증상, 감각이상, 근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방법
단순히 통증만을 제거하는 치료가 아니라 환자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맞추어 재발을 방지하고 보다 튼튼한 경추로 리모델링을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치료법을 시행합니다.
① 한약물 요법 – 디스크가 튀어나온 주위의 염증을 제거하여 통증을 줄이고, 신경재생효과를 통해 저림이나 방사통을 개선시키며 근육과 인대, 뼈를 강화시키고 척추의 퇴행화를 지연시켜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② 봉침, 약침요법 –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의 염증을 제거하고 손상된 근육과 인대를 회복시키는 침과 약의 2가지 효과를 동시에 볼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③ 추나수기요법 – 비정상적인 척추와 관절을 교정하여 정상적인 형태로 돌려놓고, 뼈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과 인대를 퇴행을 지연시키고 통증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④ 도수운동치료 – 전문 물리치료사가 환자와 1:1로 접촉하여 척추의 안정화와 근육과 인대의 강화, 그리고 체형교정을 위한 운동 등을 직접 지도해드립니다.
⑤ 침, 부항치료 – 통증으로 인해 긴장된 근육들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① 통증이 극심하여 일상생활을 거의 하지 못하는 경우
② 3~6개월간의 적극적인 비수술적 치료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별로 없는 경우
③ 목디스크가 잘 치료되지 않아 시간이 흘러 경부척수증이 생긴 경우
경부척수증 –> 손의 근력약화와 함께 부자연스러움 손놀림, 젓가락질이나 글씨쓰기, 단추채우기 등이 힘들어지고 물건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놓치거나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는 것이 잘 되지 않습니다. 심해지면 사지의 감각이 이상해지고, 보행이 이상해지며, 배변장애까지 올수가 있습니다. 이때는 가급적 빠른 수술적 요법이 필요하게 됩니다.

목디스크와 감별해야 할 질환
흔히 어깨관절의 이상으로 인한 증상들과 구분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그 외 말초신경이 압박을 받는 수근관증후군, 흉곽 탈출 증후군, 상완신경총 손상 등과의 감별도 필요합니다.

허리디스크

허리디스크는 요추와 요추사이에서 충격흡수를 위한 쿠션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튀어나와서 척수경막과 척추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며 정확히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입니다만 통상 ‘허리디스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허리디스크는 노년층보다는 오히려 청장년층에서 더 자주 생깁니다. 젊은 사람들이 나이든분들보다는 디스크 내부에 수핵을 많이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젊음 사람들은 디스크가 생겨도 훨씬 많은 양의 수핵이 탈출되므로 증상도 훨신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디스크 발병원인
크게 외상성과 퇴행성으로 나누어 볼수 있습니다.
① 외상성은 높은곳에서 떨어지거나 교통사고 등으로 허리에 직접적인 충격이 와 디스크의 섬유륜이 찢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퇴행성은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노화로 인해 진행되기도 하지만 젊은 사람들에서도 평소 바르지 못한 자세가 오래동안 지속되거나 허리에 무리를 주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함으로서 디스크에서 영양분과 수분이 빠져나가 퇴행성변화가 빨리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실 위의 외상성과 퇴행성을 완전히 구분해서 설명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대부분은 퇴행성 변화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기침을 하거나 하는 아주 가벼운 충격에도 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의 증상
① 허리가 아프면서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쪽으로 저리고 당기는 등의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때 탈출된 디스크의 부위에 따라서 눌리는 신경이 다르기 때문에 다리쪽의 증상이 생기는 부위가 조금씩 달라질수 있습니다.
② 허리를 숙였을 때 허리 및 다리 통증이 심해지므로 세수하거나 머리를 감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③ 재채기, 기침 또는 대변을 볼 때 복부압력이 증가하면서 디스크를 자극하므로 통증이 더욱 심해질수가 있습니다.
④ 탈출된 디스크의 양이 많아 신경자극증상이 심해지면 근력저하가 나타나 까치발 보행이나 뒷꿈치 보행이 힘들어 질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단순히 통증만을 제거하는 치료가 아니라 환자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맞추어 재발을 방지하고 보다 튼튼한 척추로 리모델링을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치료법을 시행합니다.
① 한약물 요법 – 디스크가 튀어나온 주위의 염증을 제거하여 통증을 줄이고, 신경재생효과를 통해 저림이나 방사통을 개선시키며 근육과 인대, 뼈를 강화시키고 척추의 퇴행화를 지연시켜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② 봉침, 약침요법 –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의 염증을 제거하고 손상된 근육과 인대를 회복시키는 침과 약의 2가지 효과를 동시에 볼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③ 추나수기요법 – 비정상적인 척추와 관절을 교정하여 정상적인 형태로 돌려놓고, 뼈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과 인대를 퇴행을 지연시키고 통증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④ 도수운동치료 – 전문 물리치료사가 환자와 1:1로 접촉하여 척추의 안정화와 근육과 인대의 강화, 그리고 체형교정을 위한 운동 등을 직접 지도해드립니다.
⑤ 침, 부항치료 – 통증으로 인해 긴장된 근육들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허리디스크를 수술해야 할 경우
환자분들을 진찰한 후 허리디스크라고 말씀드리면 대부분 바로 수술해야 하냐고 여쭤보십니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다소간의 견해차이는 있지만 심한 신경손상으로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전체 디스크 환자의 5~10% 정도에 불과합니다. 불가피한 경우는 수술을 고려해봐야 하겠지만 허리디스크의 최우선 방법은 수술이 절대 아니며 최후의 방법이 수술이 되어야 합니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현실적으로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① 3~6개월간의 비수술적치료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없거나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는 마지막 방법인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근력이 점점 더 약해지는 경우입니다. 까치발 보행이나 뒷꿈치 보행이 잘 되지 않는 근력저하가 있을 때 비수술적 치료를 계속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근력저하가 개선이 되지 않거나 혹은 더 심해진다고 하면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마미신경 압박 증후군의 경우에는 즉시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직장이나 방광의 기능이 점차 소실되어 대변, 소변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는 즉시 수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MRI 로 보는 허리디스크 호전사례 1
40대의 여자환자로 허리통증과 좌측 다리 통증, 저림을 강하게 호소하여 제대로 걸을수 없었으나 3주동안의 입원치료와 4개월의 통원치료동안 한약물복용, 봉약침, 추나요법, 한방물리요법 등을 통하여 증상이 거의 소실되었으며 MRI 상 터진 디스크가 많이 흡수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MRI 로 보는 허리디스크 호전사례 2
30대의 남자환자로 허리통증과 좌측 다리 통증, 저림 및 좌측다리에 힘빠짐도 호소하여 제대로 걸을수 없었으나 4주동안의 입원치료와 6개월의 외래치료 기간동안 한약물복용, 봉약침, 추나요법, 한방물리요법 등을 통하여 증상이 거의 소실되었으며 MRI 상 터진 디스크가 많이 흡수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나이드신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다른 척추의 구조적 문제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쉽지 않아서 흔히 척추질환의 종착역이라고 말합니다.
척추뼈가 연결된 사이로 경추에서 요추까지 파이프 모양의 관이 형성이 되는데 이것이 척추관이며 이곳이 여러 원인에 의해 좁아지면서 척추신경을 눌러서 생기는 병이 척추관 협착증입니다. 목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대게 증상이 없어 대부분 허리에 발생하였을 때 진단을 받게 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발병원인
가끔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가 있으나 흔하지는 않습니다.
허리디스크가 젤리와 같은 디스크 수핵이 튀어나와 신경을 누르는데 반하여 척추관 협착증은 관절이나 인대가 비대해지고 불필요한 뼈가 자라나오거나 딱딱한 퇴행성 디스크가 천천히 밀고 나오면서 척추관을 좁혀지게 만들어서 신경을 누르게 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비슷하게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허리디스크와 달리 누워있거나 앉아있을때는 아무 증세가 없다가 걷기 시작하면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오래 걷지 못하는 간헐파행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쪼그리고 앉아서 쉬게되면 통증과 저림이 사라져서 다시 어느 정도 걸을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한번에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점점 짧아지고 가벼운 산보나 시장가는 일 등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되어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앞으로 몸을 기대는 자세를 취하면 증상이 호전되는데 마트에서 장볼 때 카트에 몸을 기대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가라앉아 조금 더 오래동안 걸을수 있게됩니다. 이것은 앉거나 앞으로 숙이는 동작에서 척추관의 신경통로가 넓여져서 신경에 주어지는 압박을 줄이기 때문에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것입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척추관 협착증은 디스크 질환에 비해 치료기간이 상당히 오래걸리며, 환자분의 세심한 관리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치료에는 한약물요법, 봉침요법, 약침요법, 운동요법 등이 있습니다.
① 개인의 체질과 병증에 맞게 처방된 한약물은 손상된 신경을 재생시키고 연골과 뼈조직을 보호하여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지연시켜 통증의 증가를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② 봉침요법은 척추주위에 발생한 산화질소와 염증을 억제하여 신경의 손상을 막고 재생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③ 약침요법은 퇴행성 척추관절질환에 효과적인 한약재의 성분을 추출해 혈자리에 주입함으로서 침의 효과와 한약투여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척추 전방전위증

척추 전방전위증은 허리뼈가운데 하나가 다른 뼈에 비해서 유독 앞으로 미끄러져 나와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아래쪽 허리뼈에서 많이 발생하며 밀려나간 정도가 심해지면 신경관이 압박되어 척추관 협착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로 척추 분리증과 동반된 척추 전방전위증과 퇴행성 척추 전방전위증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① 척추분리증이 동반된 척추 전방전위증은 대개 사춘기때부터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이 조금 더 심한 경향이 있습니다.
② 퇴행성 척추 전방전위증이란 디스크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면 디스크 높이가 줄어들고, 척추 후방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고 이 관절이 불안정해지고 어긋나면서 전방전위증이 생기는 것으로 주로 50대 이후에 주로 나타납니다.

척추 전방전위증의 원인
사람의 무게중심이 허리의 앞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요추는 전방으로 전이되면서 전방으로 굴곡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상 척추의 후방에는 각각 위아래 척추뼈의 상하 관절돌기가 후관절을 형성하면서 앞으로 밀려나가기 않게 버팀목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부위에 척추분리증이 있거나 혹은 퇴행성 변화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상위척추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척추 전방전위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척추 전방전위증의 증상
증상은 지속적인 요통과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입니다.
허리뼈가 앞으로 많이 밀려나가게 되면 척추관내의 신경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눌리게 되므로 서서 오래 걸으면 다리가 저리게 되는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때문에 잘 걷지 못하고 조금만 걸어도 쉬었다 가는 보행장애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척추 전방전위증의 치료
요추가 미끄러져 나온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나누는데 아래 요추의 절반 이상 앞으로 밀려나온 3단계부터는 수술적 요법을 시행하여 더 이상 뼈가 밀려나가지 않도록 나사못을 이용해 고정하는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1,2단계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최대한 척추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하여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도록 하거나 진행되더라고 그 속도를 더디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퇴행성 변화에 의한 척추관절의 염증을 제거하기 위한 봉침, 약침 요법과 더불어 허리주위의 근육과 인대, 뼈, 신경을 강화시키기 위한 한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충분히 양호한 치료효과를 기대할수 있습니다.

수술후 통증 증후군

척추 수술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혹은 증상이 악화되거나 없던 증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통칭해서 수술후 통증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수술 과정중 예상치 않은 문제로 신경에 손상이 오거나 수술부위가 유착되는 경우, 혹은 삽입된 금속물로 인한 손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수술 이후 충분한 재활기간을 가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일을 시작하거나 환자 스스로 관리를 소홀히 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수술로 튀어나온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척추관절을 고정시키면 성공적이 수술을 하더라도 척추와 그 주변의 근육, 인대등의 조직의 약화는 불가피 합니다.

약화된 주변조직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척추 질환은 쉽게 재발하기 때문에 수술 후에는 비정상적인 척추형태와 몸의 균형을 바로잡고 약해진 척추와 주변 조직을 강화시켜주는 꾸준한 관리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런 환자분들에게는 봉침, 약침요법과 개인의 체질을 고려한 한약물 요법, 그리고 물리치료사가 개인 체형에 맞게 1:1로 치료를 해드리는 도수운동치료가 효과적입니다.